AWS 서비스 이용 시 자주 접하게 되는 용어 정리
온프레미스 On-premise
온프레미스란 컴퓨터 하드웨어를 직접 구매해 사무실 또는 회사 전산실 등 자체 보유한 공간에 컴퓨터를 두고 서버를 직접 설치해 운영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나오기 전까지 사용하던 일반적인 방식의 웹 서버 구축 방식입니다. 즉, 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등의 물리적인 하드웨어를 직접 구축하는 것을 말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Cloud Computing
클라우드 서비스란 인터넷을 통해 원격지에 있는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의 웹서비스를 임대해서 이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아마존과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 업체는 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등의 다양한 컴퓨터 장비와 IT리소스들을 데이터 센터에 구축한 다음, 인터넷을 통해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 형태로 만들어 임대합니다. 사용자는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에 일정 비용을 지불하고 필요한 만큼의 컴퓨팅 리소스를 대여하여 사용합니다. 이 때, 사용자는 실제 데이터 센터가 있는 곳에 갈 필요없이, 인터넷을 통해 자신이 임대한 컴퓨터 자원들에 접속하여 컴퓨팅 리소스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프로비저닝 Provisioning
AWS 인프라 - 리전, 가용영역
리전 Region
AWS가 서비스를 하는 지리적인 위치입니다.
가용영역 AZ (Availability Zone)
리전 안에 있는 데이터센터를 의미합니다. 각 리전 안에는 2개 이상의 가용 영역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전이나 지진같은 각종 재해 발생 시를 대비해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한 군데 보다는 여러 개의 AZ에 분할하여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엣지 로케이션 Edge Location
엣지 로케이션은 최종 사용자에게 더 짧은 시간 안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AWS의 추가적인 시설물입니다. 이 엣지 로케이션에서는 AWS의 CDN 서비스인 CloudFront와 AWS의 DNS 서비스인 Route 53 등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온프레미스 용어 vs AWS 서비스 용어
온프레미스 방식에서 사용되던 용어들 즉, 기존의 전통적 방식에서 사용되던 서버 관련 용어들과 대응되는 AWS 서비스 용어입니다. 쉽게 말해, 서버를 AWS에서는 EC2 인스턴스라고 부릅니다. 즉, 기존 서버를 클라우드 상에 구현한 AWS 서비스 이름이 EC2 인스턴스입니다.
온프레미스 용어 | AWS 용어 |
서버 | Amazon EC2 인스턴스 |
스토리지 | Amazon S3 |
DB | RDS |
DNS | Route53 |
CDN | CloudFront |
기타 용어
AWS Resources
AWS 리소스란 사용자가 이용하는 AWS 서비스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행하는 EC2 인스턴스, 라이트세일 인스턴스 등 사용자가 이용하는 AWS 서비스 자원을 AWS 리소스라고 부릅니다.
AWS 모범 사례
AWS 모범 사례란 영어로 best practices로 AWS에서 권장하고 추천하는 시스템 혹은 리소스의 설정 방식을 말합니다.